추천

각 게시물은 separate and connected knowing 이론 척도에 근거하여 추천할 수 있다. 위의 이론은 인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론에 의하면 우리가 보고 들은 것에 대해 평가하고 학습하는 방법에는 서로 다른 두 유형이 있게 된다. 비록 많은 사람들이 위의 두가지 방법을 적용하는 정도나 시간이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다음 예시와 같이, 짐(Jim)처럼 아주 고립적인(separate knower) 학습자와 메리(Mary)처럼 매우 친밀한 학습자(connected knower)의 극단적 두 유형의 인물을 상상하여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위의 예시에서 separate knower 가 남성이고 connected knower 가 여성임을 짐작했습니까? 상당한 연구를 통해 통계적으로 이런 경향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만 대체로 사람들은 양 극단 사이의 어떤 부분에 위치할 것이다. 학습자 모두가 위에 예시한 학습 방법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때 협동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자 집단이 만들어질 것이다. 온라인 포럼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어떤 사람의 게시글이 그사람의 전체적인 특성을 나타낸다고는 볼 수 없다. 매우 친밀한 성향(connected)을 가진 사람이 매우 "separate-sounding"한 글을 쓸 수도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따라서 각 게시글에 대한 추천결과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쓰인다.

  1. help you think about these issues when reading other posts
  2. provide feedback to each author on how they are being seen by others
추천 결과는 어떠한 경우에도 학생들을 평가하는 데 이용해서는 안되며, 단지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만 활용하여야 한다.

좀 더 관심이 있다면 이러한 이론을 개발한 원저자들의 참고 문헌들을 참조하기 바란다.